상황1 : "존슨 사관생도, 내일 2시까지 맥아더의 명언을 암기하기 바란다. 만약 완벽하게 암기하지 못할 것 같다면 적어도 5시간 전에 내게 보고하길 바란다." 다음 날 존슨 생도는 그 임무를 정확한 시간에 해냈다. 상황2 : "존슨 사관생도, 맥아더의 명언을 최대한 빨리 암기해라." 다음 날, 존슨 생도는 병원에 다녀와야 했고, 게다가 7시간이나 걸리는 숙제를 하느라 명언을 암기할 시간이 없었다고 변명했다. (224p) |
프레스턴 피시 지음, 강혜구.강예원 옮김 '웨스트포인트처럼 하라' 중에서 (흐름출판) |
이 책을 보고 20여년 전 미국 웨스트포인트를 방문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. 대학 3학년 때인 1986년 한미 국회 학생교환 프로그램으로 미국 의회에서 인턴십을 하면서 가보았던 미육군사관학교는 흥미로웠습니다. 건물 벽에 걸려 있던 'Beat The Navy!'라고 쓴 커다란 플랭카드에서 육사와 해사의 뜨거운 라이벌 의식을 보고 웃음 짓기도 했습니다. 그 때 만났던 한국계 3학년 웨스트포인트 여자 생도는 지금 무얼 하고 있을지 궁금해지기도 하더군요.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저자는 '가능한 한 빨리'라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. 예전 경제노트에서도 몇번 드린 말씀이지만, 저도 동의합니다. 좋은 표현이 아니지요. 특히 리더라면 이런 애매모호한 표현을 써서는 안됩니다. 말하는 리더의 생각과 그 말을 듣는 부하직원의 생각이 완전히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위에 소개해드린 사례가 전형적으로 그런 경우입니다. 어디 리더가 부하직원에게 말할 때만 그렇겠습니까. 자기 자신에게 말할 때는 더 중요할 겁니다. 목표를 세웠으면 자신에게 '마감일'을 명확히 이야기해야 합니다. '가능한 한 빨리'라는 애매한 말로는 내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가 힘들어집니다. 저부터 이 문제를 다시 점검해보아야겠습니다. |